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K, 유일로보틱스 인수 착수…4대 그룹 ‘휴머노이드 로봇 전쟁’ 시작됐다

by sesemama 2025. 4. 3.
반응형

SK, 유일로보틱스 인수 착수…4대 그룹 ‘휴머노이드 로봇 전쟁’ 시작됐다

 

 

 

국내 4대 그룹이 본격적으로 로봇 산업, 특히 휴머노이드 시장을 두고 경쟁에 나섰습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에 이어 SK그룹도 유일로보틱스 인수를 추진하며 로봇 전쟁에 참전했습니다. 이로써 대한민국의 산업 구조는 새로운 미래 먹거리인 ‘지능형 로봇’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2일, SK의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미국법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는 코스닥 상장 로봇 자동화 기업 유일로보틱스(388720)의 최대주주 지분 콜옵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SKBA는 향후 5년 내 김동헌 대표의 지분 23%를 주당 2만 8000원에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습니다.

SK는 이미 지난해 367억 원을 투자해 유일로보틱스의 2대 주주로 올라섰으며, 이번 콜옵션까지 행사하면 지분율이 약 36%로 증가해 최대주주에 오르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투자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SK가 본격적으로 로봇 기술 내재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탄입니다.

휴머노이드 시장,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

유일로보틱스는 산업용 자동화 장비를 개발하는 기술 기업으로, 정밀 모션 제어 및 자동화 공정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K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공장 자동화뿐 아니라 AI 기반의 지능형 로봇 기술을 개발해 휴머노이드 시장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 작업에서 벗어나 사람과 유사한 움직임과 판단 능력을 갖춘 로봇을 의미합니다. 생산현장에서의 반복 업무뿐 아니라, 물류, 의료,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입될 수 있으며, SK는 AGI(범용 인공지능)와 결합된 로봇 플랫폼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태원 회장의 결단…CES 이후 로봇 집중 선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올해 CES 2025에서 전 세계의 로봇 기술 현황을 직접 보고, 이를 SK의 미래 사업 전략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SK는 내부 로봇 R&D 조직을 본사 사업부로 편입하고, 상용화 단계로 전환해 기술 적용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SK텔레콤은 AI 로봇 연구조직을 을지로 본사로 이전하고, SK온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에 로봇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팩토리 모델을 구축 중입니다. 향후 SK그룹 전체가 유일로보틱스를 중심으로 로봇 생태계를 구축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4대 그룹 모두 로봇 참전…대한민국 ‘휴머노이드 대전’ 시작

 

SK의 참전으로 국내 4대 그룹 모두가 로봇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상황입니다.

  • 삼성전자는 삼성봇 시리즈를 개발하며 AI-센서 융합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현대차그룹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해 2족 보행 로봇 ‘아틀라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LG전자는 클로이(CLOi) 브랜드로 병원, 호텔, 물류용 로봇을 상용화했으며,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 SK그룹은 유일로보틱스 인수를 통해 생산성 중심 로봇에서 범용 AI 로봇까지 포괄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처럼 4대 그룹은 로봇 기술을 단순 기술 트렌드가 아닌, 기업 생존 전략이자 산업 패권 경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향후 5년 내 각 그룹은 로봇을 통해 산업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려는 목표를 내걸고 있습니다.

결론: 로봇이 곧 경쟁력…로봇 없는 미래는 없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더 이상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닙니다. 산업계는 빠르게 현실화된 로봇 기술을 비즈니스에 적용 중이며,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확보한 기업만이 살아남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SK의 유일로보틱스 인수는 단순한 지분 매입이 아니라, 대한민국 산업 구조의 지각변동을 의미합니다. SK가 휴머노이드 로봇과 AGI 기술을 어떻게 조합해낼지, 그리고 이 경쟁에서 누가 먼저 상용화에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산업과 기술의 흐름을 깊이 있게 전달드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