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정부는 정책서민금융 공급 규모를 기존 계획보다 1조 원 늘려 총 11조 800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고금리와 물가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저신용자를 위해 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정책 의지가 반영된 조치입니다.
은행권 대출이 막혀버린 서민,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청년, 저신용 근로자에게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이 유일한 탈출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상품과 활용 팁을 정리해드립니다.
생활안정자금 서민금융상품
- 햇살론뱅크: 서민금융상품을 6개월 이상 성실히 이용하고 신용도나 부채가 개선된 이들을 대상으로 최대 2500만 원까지 대출 가능.
- 햇살론카드: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저신용자에게 200~300만 원 한도의 카드 제공. 롯데, 신한, 현대, 삼성, 국민, 우리, 하나카드 참여.
- 햇살론유스: 19~35세 청년 중 중소기업 1년 이하 재직자, 창업 1년 이하 개인사업자, 취업 준비생 대상.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조건. 최대 1200만 원, 단 1회만 이용 가능.
- 근로자햇살론: 연 3500만 원 이하 또는 신용 하위 20%의 연 4500만 원 이하 근로자 대상. 최대 2000만 원 대출 가능.
고금리 대안 상품
- 햇살론15: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또는 신용 하위 20%인 4500만 원 이하 대상. 금리는 연 15.9%, 최대 2000만 원.
-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햇살론15 보증 거절자에게 최대 1000만 원 대출 가능.
- 불법사금융 예방대출: 기존 소액생계비대출에서 명칭 변경. 신용 하위 20%,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대상. 한도는 기존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상향.
채무조정 제도, 연체 전 관리가 중요합니다
금융위원회는 연체 전 단계부터 관리할 수 있도록 채무조정 제도를 상시화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신속채무조정과 사전채무조정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신속채무조정: 연체 전~30일 이내 대상. 금리 30~50% 인하.
- 사전채무조정: 연체 31~89일 대상. 금리 인하 및 최대 30%의 원금 감면 적용.
2024년 신속채무조정 신청자는 5만 527명으로 2020년 대비 600% 이상 증가했으며, 사전채무조정 신청자도 3만 6921명에 달합니다. 연체로 이어지기 전 사전 상담이 필수입니다.
정책서민금융, 단순한 대출이 아닙니다
정책서민금융은 단순히 돈을 빌리는 수단이 아닙니다. 신용 회복과 경제 자립을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특히 올해는 상품별 공급 규모가 확대되고 조건도 일부 완화된 만큼, 본인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꼼꼼히 비교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부족으로 불법사금융에 의존하는 일이 없도록,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또는 ☎1397 서민금융 콜센터를 통해 언제든지 상담받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